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개발공부
- jdk
- 스프링부트
- Spring
- Intellij
- springboot
- DATABASE
- sql
- component
- Vue
- 개발
- 쿼리
- 스프링
- reactjs
- 데이터베이스
- 보안취약점
- 자바
- JS
- EXTJS
- javascript
- React
- GIT
- crud
- 자바스크립트
- 컴포넌트
- table
- java
- restapi
- mssql
- 리액트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46)
준준의 기록일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2GXjY/btqG21wsgHo/y576taE9uvld0rTzvAiHC1/img.png)
기본적으로 textArea placeHoler는 글을 작성하기 전에 예시나 안내 글을 통해 사용자의 이해를 돕는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 같다. html에서는 textarea placeholder로 사용이 가능하지만 ExtJS에서는 emptyText를 통해 placeholder 기능을 구현한다. 왜이렇게 다른 이름으로 만들어서 헤깔리게 하는지 모르겠지만... 어쩌겠나. xtype:'textfield', emptyText:'enter sth you want' 와 같은 폼으로 작성하면 된다. 개행하고 싶으면 ""안에 \n을 입력하고 작성하면 자동으로 개행이 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xtype: 'fieldset', width: 1000, titl..
출처 : https://coding-factory.tistory.com/129 [Java] 문자열 공백제거(Trim) 사용법 & 예제 프로그래밍을 하다보면 예상치못한 경로로 문자열에 공백이 들어오는경우가 종종 발생합니다. 이럴경우 공백이 어디서부터 들어왔는지 소스가 길어질수록 찾아보기엔 굉장히 귀찮죠. 이럴경� coding-factory.tistory.com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I5bjO/btqGZ9V5vz3/ZJVLNomYeKJEa4dWxMBzE0/img.png)
출처 : https://zukistyle.tistory.com/168 request.getRemoteAddr() 사용 시, IP가 0:0:0:0:0:0:0:1로 나오는 문제 해결하기 아 이게 얼마만의 포스팅인지..일단 눈물 좀 닦고.. ㅠ_ㅠ 흠흠.. 개발 서버가 아닌 localhost에서 작업할 때, request.getRemoteAddr()로 IP를 가져오면 0:0:0:0:0:0:0:1로 나오는 경우가 있다. IPv6의 주소를 가.. zukistyle.tistory.com 개발 서버가 아닌 localhost에서 작업할때, request.getRemoteAddr()로 IP를 가져오면 0:0:0:0:0:0:0:1 로 나오는 경우가 있다. IPv6의 주소를 가져와서 위와 같은 주소가 출력되는데 IPv4로 ..
출처 : https://elfinlas.github.io/2018/02/18/spring-parameter/ Spring에서 @RequestParam과 @PathVariable Spring에서 Controller의 전달인자…Spring을 사용하다 보면 Controller 단에서 클라이언트에서 URL에 파라메터를 같이 전달하는 경우가 있습니다.주로 사용하는 형태는 아래의 두 가지가 대표적인 케이�� elfinlas.github.io @RequestParam과 @PathVariable은 Spring에서 Controller의 "전달인자"이다. Spring을 사용할때 view에서 controller로 URL에 파라미터를 같이 전달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사용하는 형태는 아래 두가지가 대표적이다. Type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