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컴포넌트
- React
- GIT
- java
- jdk
- 보안취약점
- restapi
- javascript
- reactjs
- 스프링부트
- Intellij
- 스프링
- JS
- sql
- crud
- Vue
- springboot
- table
- component
- 자바스크립트
- EXTJS
- mssql
- Spring
- 개발공부
- 개발
- DATABASE
- 데이터베이스
- 리액트
- 쿼리
- 자바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46)
준준의 기록일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QPoGY/btqIUh65S6o/KEKjlgCos63rIVRxtlxMRk/img.png)
인텔리제이는 Community version || Ultimate version 으로 나뉜다. 나는 무료버전인 Community 을 다운로드 받았다. 여기서 문제! Community version에서 spring boot project를 생성할 때 spring initializr 가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확인해 본 결과, Community version에서는 spring initializr를 지원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spring boot project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start.spring.io/ 사이트에서 직접 생성해주고 import해줘야한다. start.spring.io/ 사이트에서는 간편하게 spring boot project 관련 버전 정보나 의존성을 추가해줄 수 있다. 위에와 같이 설정..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JetO7/btqH0W9pLMU/Z7pA64kKrLaOVAYdhRG3gK/img.png)
DB에서 json으로 값을 받아오고 Gson해서 원하는 데이터를 view로 가져왔다. 데이터는 setting="on" 아니면 "off"였다. 즉, 페이지가 띄워질때 initServer()함수를 만들고 initEvent에 추가하면 initServer 함수가 동작하는데 , 해당 함수 안에 setting값을 받아왔고, on일때 특정 item field가 보이고, off일때는 안보이는게 포인트다. 머리로는 아주 간단한 로직이여서 금방 해결할 줄 알았는데, 해당 아이템을 동적으로 넣었다 뺐다 하는 함수나.. 방법을 몰랐다. 아무리 검색해도 뭐랄까..나랑은 거리가 먼 코드..의 느낌? 이건 나랑 상관없는 느낌..ㅎㅎ 초보자의 한계인 것 같다. 해결방법 지인한테 물어보니, item 속성에 hidden:true을 초기..
출처 : medium.com/webeveloper/reqeustbody%EC%99%80-responsebody-%EC%96%B8%EC%A0%9C-%EC%82%AC%EC%9A%A9%ED%95%A0%EA%B9%8C-2efcab364edb @ReqeustBody와 @ResponseBody 언제 사용할까? 비동기 통신을 위한 어노테이션 medium.com 그때 그때 꺼내서 볼 부분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필요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 JSON이라는 데이터를 요청 본문에 담아서 서버로 보내면, 서버에서는 @RequestBody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HTTP 요청 본문에 담긴 값들을 자바 객체로 변환 시켜, 객체에 저장시킵니다.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응답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 @ResponseBody 를 사용하..
매번 스프링 프로젝트를 시작할때마다 뭐부터 해야되는지 좀 난감한게 아니다...연습이 부족한거겠지.... 그래서 본인을 위해 조사하면서 준비해봤다. Marketplace에 가서 STS 검색, 원하는 spring tool을 설치한다. (나는 3.9 버전 설치) -> 근데 자동으로 on add 4.6.~~acl? 이 같이 설치됬다. 이후에 spring boot starter project를 생성한다. 그 이후, pom.xml로 가서 본인 spring boot 에 필요한 설정으로 변경한다. 아마 변경할게 없겠지만, 본인은 java version 11 -> 1.8로 수정했다. 그리고, run spring boot 를 하면 8080포트로 실행 -> 화면은 없다. 화면 생성 방법 -> src -> main -> 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