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개발
- restapi
- table
- springboot
- 개발공부
- 데이터베이스
- 컴포넌트
- 쿼리
- crud
- mssql
- jdk
- 스프링
- Intellij
- Vue
- 자바
- React
- javascript
- GIT
- java
- 자바스크립트
- component
- reactjs
- DATABASE
- JS
- 보안취약점
- Spring
- EXTJS
- 리액트
- 스프링부트
- sql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Basic (1)
준준의 기록일지

구조 src, public이 있는데, public 밑에 index.html이 있다. index.html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앞으로 생성하는 컴포넌트는 해당 구문 안에 들어가게 되어 있다.(커스텀가능) src안에서 파일을 생성하고 커딩하고, index.js - docment.getElementById('root') 용량을 엄청 줄여준다. 실 서버 환경이 완성되는 것. 새로고침할때 - 강력한 새로고침, hard reload로 계속 새로고침 대기상태, 성능을 높이기 위해 뭔가를 다운받는데, 해당 기능은 캐쉬를 전부 없애버린다. npm : 다운로드 받아서 계속 사용 npx : 한번만 사용할때 사용. (최신으로 리액트에서 요즘에 권장?) - npx serve -s build : 한번만 사용할 서브를 만들어서 ..
스프링 프로젝트 (+react)
2020. 10. 14. 2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