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스프링
- React
- DATABASE
- reactjs
- 리액트
- jdk
- sql
- mssql
- Spring
- EXTJS
- java
- Vue
- Intellij
- GIT
- 자바스크립트
- javascript
- JS
- 쿼리
- 보안취약점
- 자바
- 데이터베이스
- table
- restapi
- 컴포넌트
- crud
- 개발
- springboot
- component
- 스프링부트
- 개발공부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46)
준준의 기록일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Jv1te/btq11yJsJvW/KLVYOKeQZDBFaowwmtPnuk/img.png)
톰캣에 프로젝트를 추가해서 구동할 경우, 아래와 같이 계속 Class 참조에 실패하는 문제가 발생했다. 처음에는 많이 해맸는데, 아주 단순한 문제였던 것! 말 그대로, 해당 클래스를 찾을 수 없다는 건데, 다른 프로젝트 안에 해당 클래스가 있기 때문에 import해서 가져왔음에도, 다른 프로젝트 자체가 build path에 등록되어 있지 않아서 문제가 발생했다. 문제 해결 1. 프로젝트 우클릭 ->Build path -> Configure Build Path....에 들어간다. 2. 다음으로 Deployment Assembly에 접근 - 해당 페이지에서는 해당 프로젝트가 구동될때 패키징될 프로젝트, maven dependencies .. 등을 추가해줄 수 있다. - 본인은 여기서 패키징되야할 프로젝트가 ..
출처 effectivesquid.tistory.com/entry/Timeout%EC%97%90-%EA%B4%80%ED%95%9C-%EC%A0%95%EB%A6%AC Timeout에 관한 정리 Connection Timeout 클라이언트가 서버측으로 connection을 맺길 원하지만 서버의 장애 상황으로 connection조차 맺어지지 못할 때 발생하는 timeout이다. Read Timeout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connection은 맺어졌.. effectivesquid.tistory.com
이번에 사용자 포탈에 war파일을 배포해서 업데이트를 했는데, 로컬에서 브라우저로 포탈에 접속할때 기존 캐시 파일로 인해 수정이 안되는 문제가 발생했다. 로컬에서 강력 새로고침을 하면 캐시파일이 없어지고 업데이트된 js파일을 가져올 수 있지만, 이 방법은 단편적이기 때문에 근본적인 문제 해결이 필요했다. 방법 파일 경로에 임의의 쿼리스트링( 단순 인자)를 추가한다. 쿼리스트링 추가이기 때문에 실제 파일 경로나 파일명을 바꿀 필요는 없다. 이렇게 추가된 쿼리스트링 명만 바꿔도 다른파일로 인식하기 때문에 서버 관리도 편하다. css ex)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McPcW/btq0iB8BxUG/tAlYR5ShxFIlr2Ft2xCw0K/img.png)
csv파일에 로그인 정보를 담고 해당 login 요청에 아래와 같이 설정해주면 된다. 부하테스트는 로그인 : once only controller 로그인 이후 페이지 : loop controller 로그아웃 : once only controller 로 진행했다. 해당 페이지 정보를 알 기 위해서 HTTP(S) Test Script Recorder를 아래와 같이 설정하고 로컬에 아래 사진과 같이 프록시를 설정한 뒤 Start를 하고 페이지에 접속하면 해당 페이지 정보를 실시간으로 가져온다. Table 열 데이터 Sample - ID번호 이 번호를 보고 몇번째로 보는 부하인지 알 수 있다. Start Time - 보내기 시작한 시간으로 ms단위까지 나온다. Thread Name - 쓰레드 그룹 이름 Labe..